unbeauty

앙대-대수 (Angde-Algebra)

앙대-대수에 대해 설명할께…

앙대-대수는 결국 칼래(CaLE)로 평가되는데… 뭐… CaLE에 대해 읽어봤으니 페스할께.

절대게임, 상대게임, 앙대게임을 만들어왔어

절대게임은 설명서에 목차가 다섯가지 있어

  1. 해석
  2. 정의
  3. 표기
  4. 규칙
  5. 평가

해석부터 알려줄께!

“대괄호를 먼저 평가한다.”가 전부야.

그러면 정의를 알려줄께. 근데 정의가 다섯가지야. DEF1, DEF2, DEF3, DEF4, DEF5가 있어.

DEF1 : 절대게임은 빈칸의 연속이다. DEF2 : O논리적 수용가능함이다. DEF3 : X는 그 반대다. DEF4 : 는 추론이다. DEF5 : 빈칸은 채울수 있는 칸이다.

이렇게 돼.

그렇지, 이제 표기를 알려줄께. A번째 빈칸은 🄰라고 적고, 0️⃣→1️⃣→2️⃣0️⃣→[1️⃣→2️⃣]를 적은거야.

규칙은 A, B, C 새가지가 있어.

A. 1️⃣ → 1️⃣에는 동그라미 (O)를 위에 그려. B. O → X에는 엑스 (X)를 위에 그려. C. 0️⃣→1️⃣→2️⃣애서, 1️⃣→2️⃣0️⃣→1️⃣→2️⃣에 동그라미 쳐저 있다면, 0️⃣에 동그라미 치면, 2️⃣에 동그라미쳐.

이건 다음 문단인 평가를 알아야해.

평가 : 절대게임위에 O나 X로 절대게임에 대해 평가한것이야.

그럼 앙대게임이랑 상대게임에 대해서도 알려줘볼까?

앙대게임은 최종적으로 람다로 내부적으로 평가되는 게임이야.

<>안에 절대게임을 담으면, 튜플 ()안에 인자로써, 절대게임들을 넣을수 있어.

튜플의 각 인자는, 순서대로, 번호가 메겨진 빈칸에 딱딱 채워져.

상대게임은, Δ가 등호의 역할을 하는 게임이야.

상대게임은 사실은 괭장히 불분명한 게임이야.

상대게임의 등호는 절대게임에서 말하는 평가가 되지만, 이걸로 수학을 구성할수 있기에 괴델 제 1 불완전성에 걸려, 즉, 튜링 언어에서 형식 언어로 넘어온거지.

아…? 독립적인 게임이냐고?

아… 상대게임은 앙데게임을 내장 (임베딩) 하고, 앙데게임은 절대게임을 내장 (임베딩) 해!

이 게임은 논리학 용도보다는 수학 용도야

함의, 의미론적 등호, 람다대수가 개임의 유일한 준비물이야.

오 탐구나 증명이 있냐고? 탁월한 질문이야!

절대게임에서 썼던 심볼 있잖아!, 그것으로 연결된 튜플이 바로 형식증명이 돼.

즉, 라인 (line)이라는 이름으로, 숫자 번호 (1. 2. 3.)를 적고, 식을 나열하면, 그것은 상대게임 수준에서 형식증명을 작성하는게 되는 셈이지.

말 다했다~~ 끝.